[DT광장] 표절과 `연구 윤리 환경`


입력: 2015-07-16 19:27
[2015년 07월 17일자 23면 기사]


논문 표절이 최근 고위공직자 및 유명인사들의 검증 필수항목이 되었다. 논문 표절문제가 언론에 보도되면 어김없이 전화가 오기 시작한다. "정말 표절인가요?"라는 물음에 표절분석 전문기업이라고 말하는 회사의 이사로서도 선뜻 대답하기가 쉽지 않다. '표절'이라는 것이 단순 명료하게 '표절이다. 아니다'라고 말하기에 앞서 고려되고 확인해야 할 사항들이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검증은 대부분 당사자들이 지금까지 관행이었던 부분으로 표절에 대해 무지했음을 인정하고 마무리 되는 모습을 보면서 여러모로 아쉬운 부분들이 많다.

짧은 기간 급격하게 성장한 우리나라의 연구환경은 질적 연구 성과보다는 양적 연구 성과에 가중치를 두는 분위기 속에서 실제로도 표절이나 부당한 중복게재에 대한 부분을 안이하게 생각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표절이라는 연구부정행위가 누군가를 깎아 내리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이 가장 안타까운 부분이다.

우리나라는 2007년 이후에 와서야 국가차원에서 국제적 수준의 연구문화를 만들기 위한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이 제정되었으나 이 지침이 연구현장의 연구윤리 위반 문제에서 실질적인 가이드가 되지 못하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이에 따라 지난 6월 3일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 개정(안)에 대한 공청회가 진행되기도 했다. 그 동안 교육부를 비롯한 학계, 연구기관에서 연구윤리 규정을 확립하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어 왔는데 이번 공청회가 그러한 노력들에 더욱 힘을 실어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반가운 것은 그 동안 강조해 왔던 적발적 개념의 표절이 아닌 '표절 예방'을 위한 움직임들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 동안의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는 표절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면 그 이후 상황 수습을 위하여 표절검사를 하고 그에 대한 조언을 구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가장 많은 질문이 "표절률이 몇 퍼센트면 표절인가요? 몇 퍼센트이하면 안전하다고 할 수 있나요?"라는 것이다. 이때마다 표절률에 대한 내용과 함께 적발보다 예방이 더욱 중요한 것임을 설명해 왔다.

최근에는 이러한 표절문제 발생 수습과정이 아닌 "올바른 학습·연구윤리 확보를 위해 논문이나 보고서 제출 전 표절검사를 활용하려고 한다"는 문의가 점점 늘고 있다. 표절을 적발대상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글쓰기과정에서 스스로 점검하는 것이 더욱 우선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연구윤리교육에 대한 문의도 늘고 있는데 대부분의 기관들이 지금까지 체계화된 연구윤리 교육을 진행한 적이 없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잘 모르겠다며 도움을 청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의에 답을 주는 것이 간단한 과정이 아니지만 이러한 문의가 늘어나는 것이 반가울 따름이다.

표절, 부당한 중복게재에 대한 자정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올바른 연구윤리 확산을 위한 움직임이 커지는 요즘 더욱 많은 책임감을 느끼게 된다. 그 동안 카피킬러가 진행해 온 '표절 없는 올바른 글쓰기'에 대한 교육콘텐츠 강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연구윤리 정착을 위해 더욱 많은 활동들을 구상하고 있다.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각계각층의 다양한 노력들이 시작된 만큼 올바른 학습·연구윤리가 하루 빨리 정착되길 바란다.

김희수 무하유 이사    


▶ 원문보기 :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5071702102351795001